뉴욕 타임즈, 중국의 '짝퉁문화' 비난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3,177회 작성일 11-04-25 11:33
본문
미국의 뉴욕 타임즈(NYT)는 중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가짜 문화' 를 소개하면서 중국 경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하는데 제약이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현재 중국의 '가짜 문화' 는 제품 등과 관련된 산업분야 뿐 아니라 과학 연구분야에까지 뿌리 박혀 있어 그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NYT는 이어 중국에서 학력 위조와 연구 표절 등이 만연해 있어 해외 연구자들이 중국인 연구자와 공동연구를 꺼리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2월 영국의 과학 저널은 수준 이하이거나 독창성이 떨어지는 중국인 논문 70편을 퇴출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영국의 의료 전문 저널은 올 초 표절 논문이 후진타오 주석이 밝힌 2020년까지 중국을 연구 대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저널은 "이번 사건이 중국 정부로 하여금 연구 윤리와 연구 자체를 강화하는 계기가 돼야 할 것" 이라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중국의 가짜 얘기는 더 이상 뉴스거리도 안 된다. 식료품에서부터 자동차까지, 위조 기술이 하도 발달해서 이제는 진짜보다 더 좋은 제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문제는 가짜로 인한 무형의 자산에 더 큰 피해가 있다는 점이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짝퉁 제품으로 인해 기업 브랜드는 물론이고 국가 브랜드까지 추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형사기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 우리나라도 가짜 학위와 가짜 연구 논문으로 인해 국제적인 망신을 경험한 바 있다. 학력위조 논란은 지금도 끊이지 않고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도 예외는 아니다. 스포츠 스타들의 약물 복용이나 월가의 사기행각 등은 흔한 일이며, 또한 사회적 이슈로 자주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의 사기는 너무 광범위해서 중국이 한 단계 높은 곳으로 진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과학만이 문제가 아니다. 교육자들은 중국 학생들의 부정행위에 대해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일류 대학에 진학해야 한다는 심적인 부담과 이를 위해서는 좋은 시험성적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이 써준 에세이와 시험문제도 살 수 있다. 이틀간에 걸친 대입시험을 대신 쳐주는 사람도 있으며,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손목시계나 펜을 사용해서 밖에 있는 사람과 교신하며 정답을 받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가짜가 판치는 세상'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때 사회적으로 엄청난 물의를 일으켰던 소위 '신정아 사건' 이 터졌을 때, 우리사회는 학력보다 실력으로 인정받는 사회가 되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외쳤다. 하지만 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학력 지상주위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실력보다 간판을 더 중요시 여기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번 NYT의 보도를 '타산지석' 삼아 외면적 허세보다는 내면을 다지며, 학위보다는 실력을 중요시 여기는 사회로 전환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지난 12월 영국의 과학 저널은 수준 이하이거나 독창성이 떨어지는 중국인 논문 70편을 퇴출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영국의 의료 전문 저널은 올 초 표절 논문이 후진타오 주석이 밝힌 2020년까지 중국을 연구 대국으로 만들겠다는 목표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저널은 "이번 사건이 중국 정부로 하여금 연구 윤리와 연구 자체를 강화하는 계기가 돼야 할 것" 이라고 일침을 가하기도 했다.
중국의 가짜 얘기는 더 이상 뉴스거리도 안 된다. 식료품에서부터 자동차까지, 위조 기술이 하도 발달해서 이제는 진짜보다 더 좋은 제품을 만들어내고 있다. 문제는 가짜로 인한 무형의 자산에 더 큰 피해가 있다는 점이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짝퉁 제품으로 인해 기업 브랜드는 물론이고 국가 브랜드까지 추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형사기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 나라는 없다. 우리나라도 가짜 학위와 가짜 연구 논문으로 인해 국제적인 망신을 경험한 바 있다. 학력위조 논란은 지금도 끊이지 않고 사회적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미국도 예외는 아니다. 스포츠 스타들의 약물 복용이나 월가의 사기행각 등은 흔한 일이며, 또한 사회적 이슈로 자주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교육과 연구 분야에서의 사기는 너무 광범위해서 중국이 한 단계 높은 곳으로 진입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과학만이 문제가 아니다. 교육자들은 중국 학생들의 부정행위에 대해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일류 대학에 진학해야 한다는 심적인 부담과 이를 위해서는 좋은 시험성적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이 써준 에세이와 시험문제도 살 수 있다. 이틀간에 걸친 대입시험을 대신 쳐주는 사람도 있으며, 소형 카메라가 장착된 손목시계나 펜을 사용해서 밖에 있는 사람과 교신하며 정답을 받기도 한다는 설명이다.
'가짜가 판치는 세상'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한때 사회적으로 엄청난 물의를 일으켰던 소위 '신정아 사건' 이 터졌을 때, 우리사회는 학력보다 실력으로 인정받는 사회가 되야 한다고 한 목소리로 외쳤다. 하지만 사회 저변에 깔려 있는 학력 지상주위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실력보다 간판을 더 중요시 여기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번 NYT의 보도를 '타산지석' 삼아 외면적 허세보다는 내면을 다지며, 학위보다는 실력을 중요시 여기는 사회로 전환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