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lloween Day (할로윈 데이, 10월31일 밤) - 죽음의 신을 달래는 의식 > 휴일즐기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휴일즐기기


 

Halloween Day (할로윈 데이, 10월31일 밤) - 죽음의 신을 달래는 의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873회 작성일 14-01-26 05:15

본문

(1) Halloween의 유래

Halloween은 매년 10월 31일 미국 전역에서 볼 수 있으며, 이것의 이름은 로마 카톨릭의 All Saints’ Day(만성절: 11월 1일)의 전야, 간단히 말해서 All Hallow’s Eve입니다.

Halloween의 검정색과 오랜지색은 죽음(death)과 추수(harvest)라는 두가지 관념을 제시한다고 합니다. Halloween은 기독교가 전래되기 전 1세기 중반, 당시 영국에 살고 있던 켈트족의 종교적 지도자였던 드루이드 (Druid)교의 승려들에 의해 전파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입니다.

고대 켈트족(Celtic: 영어로는 셀틱)의 Samhain이라는 축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켈트족은 지금의 아일랜드, 영국, 북부 프랑스지역에 약 2,000년 전에 살았는데 그들은 마법에 걸린 사후의 인간 영혼은 드루이드가 섬기는 신(神)인 삼하인(Samhain)에 의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믿었고, 삼하인은 인간의 죽음과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죽음의 신으로 켈트인에게는 당연히 두려움의 대상이었겠죠.

그래서 켈트족들은 죽은 자들을 위해 벌인 불 축제에서 유래된 것이다. 이 축제에 자신의 가족이나 친구 혹은 사랑하는 사람의 영혼이 구원을 받도록 하기 위해 동물을, 때로는 사람까지 희생 제물로 바치는 의식을 베풀었는데, 이 날이 바로 ‘할로윈 데이’의 기원이 되었다고 합니다.

November 1에 신년축하를 했지요. 이 날은 여름과 수확의 마지막날이며, 추운 겨울의 시작으로 생각되어졌는데 추운 겨울이라는 것은 죽음과 관계있는 계절이었습니다. 켈트족은 새해가 오기 전날 밤에 산자의 세계와 죽은 자의 세계의 경계가 모호해진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10월 31일을 Samhain로 기념했는데 이 때는 죽은자의 유령이 지상에 돌아온다고 믿었던 거지요. 이 때문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지만 또한 이 세상의 존재가 아닌 것이 Druid(켈트족의 목사, 또는 제사장)으로 하여금 미래를 점치도록 돕는다고 보았습니다. 자연의 힘에 의존해야 했던 고대 사람들에게 이러한 예언은 길고 어두운 겨울동안 마음의 평안을 주는 구실이 되었습니다.
“Samhain”이란 비 기독교인과 기독교인 시대에 죽은 자들을 위한 축제로 추수의 끝과 겨울철의 시작을 나타내면서 5월까지 지속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사람들은 10월 31일에 겨울이 시작된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이날 열리는 삼하인 축제날에는 죽은 자들이 긴 겨울밤에 활동하기 위해 되살아난다고 생각했다. 즉, 유령이나 마귀, 마녀, 해적, 요정들이 인간을 대신해서 세상을 다스린다는 것. 이런 이유로 사람들은 가능한 바깥 출입을 삼가고 귀신들에게 자신들의 집을 볼품없게 보이게 위해 일부로 벽난로의 불을 꺼뜨리기도 했습니다.

마을 입구는 물론 집집마다 음식을 준비하고 악령들을 대접하면 악령들이 자신들에게 악한 장난을 하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 오랜 세월이 지나면서 아일랜드 원주민들은 귀신 복장을 하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음식을 달라고 요구하는 재미있는 전통을 만들게 되었고, 이것이 Halloween의 대표적인 놀이인 “트릭 오어 트리팅” (Trick-or-treating)의 유래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기독교가 널리 퍼지게 되면서 이러한 아일랜드의 풍습을 악령과 죽은 자들의 영혼을 기리는 날에서 성인들의 삶을 경축하는 날로 바꾸게 된 것입니다. 기독교에서는 11월 1일을 만성절(All Saints’ Day)로, 그 전날인 10월 31일 저녁을 만성절 전야(All Hallows’ Evening)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오늘날의 Halloween이라는 이름은 바로 All Hallows’ Evening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편 오늘날의 Halloween Day 풍습이 미국에 전해지게 된 것은 아일랜드인들이 미국으로 건너오면서부터라고 합니다.

할로윈 데이는 성자의 날(11월 1일) 바로 전날(10월의 마지막날)입니다.


(2) 오늘날의 Halloween Day

오늘날 할로윈 데이는 모든 미국인들이 즐기는 명절이며 특히 어린이들이 가장 즐거워하는 날입니다. 어린이들은 즐겨 입는 의상은 보통 마귀, 마녀, 유령, 해적, 요정, 야수 또는 잘 알려진 만화 캐릭터. 심지어는 미국 대통령의 얼굴을 본 따서 만든 가면까지 등장했습니다.

할로윈 데이가 오면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집 문간 앞에 불을 환하게 밝혀두는데 이는 어린이들에게 대접을 해준다는 뜻이랍니다. 이윽고 다양하게 분장한 꼬마 귀신이 문을 열고 들어와서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 과자를 주지 않으면 장난을 칠 테야!)’하고 외치면서 자루를 내밉니다. 만약 아무 것도 주지 않으면 그 집의 유리창에 비누 등으로 낙서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어른들은 그 자루에다 미리 준비한 과자나 사탕, 풍선껌, 사과, 오렌지 혹은 케익 등을 넣어주며 귀여운 개구쟁이들이 마냥 즐거워하는 모습을 만끽하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의 할로윈의 풍습이죠.

또한 호박 속을 파서 만든 호박등이나 횃불을 들고 마녀와 귀신 분장을 한 의상행렬, 가장무도회가 벌어지기도 합니다.




(3) Trick or Treat

‘Trick-or-treating‘(Trick’O'Treating)의 풍습은 아마도 영국의 All Souls’ Day 퍼레이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축제 기간 중에 가난한 사람들은 음식을 구걸했고 그들에게 “soul cake”이라고 불리는 빵을 주는 가족에게 죽은 친척의 영혼을 위해 기도해 주었지요.

이 soul cake은 떠돌아다니는 영혼에게 음식과 포도주를 남겨놓은 풍습을 대신해서 교회에 의해 장려되었지요. 이것을 “going a-souling”이라 했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 관습이 바뀌어 마을의 어린이들이 구걸하는 사람이 되었어요. 그들이 이 집 저 집을 다니면 그들에게 사과나 건포도 롤빵이나 돈을 주곤 했답니다. 아이들은 “장난을 할까요? 아니면 먹을 것을 주실래요?”라고 소리치면, 가정 주부들은 아이들이 장난치지 않도록 과자나 사탕 등을 주곤 한답니다.

(4) 호박등(Jack-o’-lantern)에 얽힌 이야기

할로윈 데이의 상징은 ‘잭-오-랜턴(Jack-oꡑLantern)’ 즉, 망령의 갈 길을 밝혀주기 위한 등(燈)이란 이름에서 유래된 호박등이다. 할로윈 데이(Halloween Day)의 대표적인 풍습인 호박등 (Jack-o’-lantern) 의 유래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 입니다. Halloween Day Festival에는 집집마다 호박 속에 양초를 두고 겉에는 악마의 얼굴을 새긴 호박등을 걸어 둔답니다. 그 호박등을 잭오렌턴 (Jack-o’-lantern) 이라고 부르는데 그 유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옛날 영국의 서쪽 아일랜드에 구두쇠이고 욕심 많은 Jack이라고 하는 영감이 살았는데, 하루는 길을 가다 악마를 만나게 되었는데 그 악마가 자꾸만 Jack 영감을 따라왔답니다. Jack 영감은 꾀를 내어 악마에게 사과를 먹어 보라며 사과나무에 올라가게 했고, 악마가 나무에 올라간 사이 Jack 영감은 재빨리 칼을 꺼내어 나무에 십자가를 그려 놓아 십자가를 무서워하는 악마는 나무에서 내려오지 못하게 되었고, Jack 영감과 악마는 흥정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즉 다시는 영감 앞에 나타나지 않겠다는 것과 Jack 영감이 죽은 후에도 지옥으로 데려 가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 낸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Jack 영감은 Halloween Day를 얼마 남겨 놓지 않고 그만 죽고 말았습니다.

쁜 일을 많이 해서 천당에서는 받아 주지 않게 된 Jack 영감은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다 지옥이라도 가야겠다고 생각하며 지옥으로 발걸음을 옮기다가 그 때의 악마를 만나게 되었고 그 악마는 Jack 영감을 보는 순간 깜짝 놀라 지옥문을 잠궈 버렸다고 합니다..

Jack영감은 지옥에라도 들어가게 해 달라고 사정했지만 악마는 절대 문을 열어 주지 않아서 하는 수 없이 Jack 영감은 캄캄한 곳이니 길이라도 찾게 해 달라고 하자 악마는 지옥에 있는 시뻘건 불덩어리 하나를 던저 주고 그를 쫓아냈다고 합니다. Jack 영감은 길을 밝히기 위해 그 불덩어리를 호박 속에 담아 호박 초롱을 들고 다니며 어디 쉴 데가 없나 하고 오늘날까지 돌아다니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 호박 초롱을 Jack-o’-lantern이라고 부르며 오늘날 Halloween Day의 전통이 되었다는 전설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