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팅_고성능 개스 난방 장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엘렌공주 댓글 0건 조회 1,435회 작성일 10-04-07 11:04
본문
고성능 개스 난방 장치
몇년 전만 해도 개스비는 기름값의 절반밖에 안된다고 했으나 지금은 별 차이가 없다. 그래서 더욱 경제적인 난방시스템을 연구 개발한 것이 고성능 열효율 개스 난방장치다. 재래식 개스 난방시스템은 60%의 열 효율을 내지만 이 고성능 개스 난방장치는 95%의 높은 열효율을 내는 경제적인 난방장치인 것이다. 즉 100%의 개스가 들어오면 95%가 타고 나머지 5%는 연기로 나가는 것으로, 같은 양의 개스로 많은 열량을 내는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원리와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천연개스는 액체화된 개스 상태에서 발화점을 지나, 열을 낼 때는 무척 많은 양의 수분을 생산하게 된다. 1파운드의 물이 화씨 212도에서 수증기로 바뀔 때 수증기 속의 열량은 212 BTU의 열량에서 970 BTU의 높은 열량으로 바뀐다. 이러한 변화를 수분증발 잠재력 히팅(Latent heat of vaporization) 원리라고 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개스발화 열량이 많고 연소율이 높은 고성능 퍼니스를 만들게 된 것이다.
*내부 장치의 기능
1. 공기 유도장치(Induced Draft Fan) : 고성능 열효율 퍼니스에서 제일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공기 유도장치다. 이 장치는 긴 열처리 교환기를 통과해서 내연개스 연통으로 나갈 때 내부 공기를 빨리 나가도록 유도해주는 내풍 인입장치다. 뜨겁게 달궈진 열처리 교환기는 빨리 내연개스를 밖으로 내보내고 계속해서 들어오는 개스를 잘 타도록 유도해 주는 것이다.
2. 버너(Burner) : 열처리 교환기를 덥히기 위하여 불을 내는 곳이 바로 버너장치다. 개스관으로부터 들어오는 천연개스가 조정기를 통해서 들어올 때 불꽃심지가 버너에 불을 붙이게 되면 버너 입구에서 화력이 솟게 된다. 불꽃이 파랗고 깨끗이 보이면 화력이 좋은 상태, 오렌지 색깔의 불꽃이 보이면 불완전연소 상태이므로 버너의 정비가 필요하다.
3. 열처리 교환기(Heat Exchanger) : 열처리 교환기는 1차, 2차 또는 3차 교환기 등 2개 이상의 열처리 교환기가 있기 때문에 뜨거운 상태가 오래 가고, 연기개스 통과가 보통 퍼니스보다 오래 간다. 열처리 교환기의 원리는 재래식 퍼니스와 같으나 열량을 많이 내기 위해서 생기는 잠재력 히팅증발력의 개스화력 때문에 기체 내에 많은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수분제거에 세심한 주의를 해야 한다.
4. 응고된 물 처리 파이프 : 열처리 교환기 내에서 열이 식으면서 생기는 물은 자연적으로 배수 파이프를 통해 바닥 배수구로 나가게 되는데 열처리 교환기에서 생기는 연료 찌꺼기나 덩어리 같은 것이 생겨 파이프를 막히게 한다.
1. 관리상 문제점
난방 연료비를 절약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고성능 열효율 개스 퍼니스는 관리상 문제점도 많이 있다. 즉 보통 퍼니스보다 많은 부속품과 컴퓨터 자동장치로 인한 계기작동장치, 세밀한 연결라인 등 반드시 자격이 있는 기술자가 고쳐야만 한다. 고성능 열효율 개스 퍼니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작동된다.
1) 리빙룸에 있는 온도 조절기에서 히팅 ON
2) 공기 유도장치 팬이 돌아가기 시작
3) 자동 압력 스위치에 연결
4) 15~30 초 동안에 점화 준비
5) 전자 점화장치가 버너에 입력되어 불꽃 발생
6) 점화 후 10-20초 뒤에 환풍기 돌아가기 시작
7) 불어올린 더운 공기가 덕트를 통해 집안으로 공급
8) 리빙룸에 있는 온도조절기의 조정해 놓은 실내온도에 도달되면 자동적으로 버너의 불꽃이 꺼짐
9) 공기 유도장치 팬이 자동적으로 정지 10) 자동 압력스위치가 열리면서 정지명령을 내리면 모든 기계 장치 정지
2. 내부장치의 문제점.
1) 공기유도 장치(Induced draft fan)
-빠른 회전 속도로 인해 베어링이 파손되거나 팬이 돌아가면서 파손현상이 일어난다.
-전열기 접속 부정확으로 돌아가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런 문제점이 생기면 열처리 교환기에 가열상태가 나빠진다
2) 열처리 교환기(Heat exchanger)
-발화개스가 냉각될 때, 가습기, 에어컨에서 생기는 물 등으로 쇠 벽에 녹이 나는 경우가 많으며 녹방지를 위해서 수분 제거장치의 고장을 없애야 한다.
-다른 열처리 교환기보다 오래 통과되는 연소물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열처리 교환기가 막히는 경우가 있다.
-공기 유도장치가 고장났을 때 공기유통이 원활치 못해 과열상태로 있기 때문에 오버 히팅이 될 수 있다.
3) 응고된 물처리 파이프
-파이프가 막혀서 물이 빠지지 않는다.
-파이프를 잇는 조인트가 맞지 않아 물이 새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기체 내로 물이 들어가게 된다.
자료제공-뉴월드냉동, 히팅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