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설의 연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챠이브 댓글 0건 조회 2,458회 작성일 11-09-16 00:34본문
풍수지리는 도읍·궁택·무덤의 터를 잡기 위해 점을 치는 일조의 관상학인 까닭에 상지학 (相地學)으로 규정되며 본래는 일종의 지모신(地母神)적인 신앙에서 나온 것이다. 뒤에 이 형태적인 지리에 음양오행의 형이상학적이 이론을 부여하 고, 그 밖에 천문·방위 등의 사상 을 첨가하였으며 유가의 윤리사상과 결합하여 상당한 발달을 보았다.
풍수가 언제부터 유행하게 되었는지는 구구한 설이 많다. 그 중 가장 유력한 설에 의하면 중국의 전국 시대로부터 진대(秦代)에 걸친 시대 에 형성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형을 따지자면 주대(周代)에 소박한 형태로 나마 도읍·성시(城市)·궁실·동리·영조(營造) 때에 상지(相地)·상택(相宅)을 했음을 알 수 있다.(詩經)
그러나 죽은 조상을 길지(吉地)에 묻으면 후손에게 부 귀영화가 있다는 관념은 진한(秦韓) 시대에 이르러 분명히 나타나고 유행하는 것 같다.
이와 같은 사고와 관련하여 한대(漢代)에 이르면 특히 음양설(陰陽說)이 도입되어 완전하게 되며, 그리하여 풍수의 경전인 청오경(靑烏經)이 편찬되어진 다 이후로 풍수삼사(風水三師)라 일컬어진 청오자(靑烏子), 곽박, 장자미는 풍수 의 대가로 일컬어졌다.
남북조시대에 이르면 풍수사상이 한층 발전하여 이 방면 의 대가를 많이 내었다. 이때의 택경(宅經)의 궁택에 관한 것이며, 궁택에 대하 여 음택(陰宅)의 이론을 붙이기는 이 남북조시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풍수설은 주거와 취락(聚落)을 주로 다루는 양기풍수(陽基風水)가 먼저이고, 그 뒤에 음기풍수(陰基風水)라는 묘지상점(墓地相占)의 방법이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당대에도 여러 풍수사가 나온다.
우리 나라에서는 기록에 의하면 이 미 삼국초기에 땅의 물질적 소여(物質的 所與) 뿐만 아니라 본질적 지기(本質的 地氣)에 대한 이해가 있었음을 알게 해주는 대목이 있다. 신라 제4대 탈해(脫解) 임금이 삼일월형길지(三日月形吉地)를 계책을 써서 빼앗은 얘기. 고구려 대무신 왕(大武神王)의 부여 정벌을 위한 땅의 묘한 징조 얘기, 고구려 민중 왕이 사냥 중에 석굴을 발견하고 죽은 후 묻어달라고 했다는 기록 등이 그런 예들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에서 발견되는 사신벽화(四神壁畵)는 풍수가 상당정도 체계화 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은 풍수사상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고 풍 수적 사고관념이 마련되고 있던 시기로 할 수 있다.
명백히 사상체계를 갖춘 풍수지리설은 신라 말 도선국사(道詵國師)에 의해서라고 믿어진다. 신라 말의 대표 적 선승이자 풍수가인 그는 이 방면에서 상당히 조예가 깊었던 인물로 보여진다. 그는 중국의 구조화된 풍수지리를 이론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체계적으로 한반 도에 투영시킨 인물이었다. 도선이 당시의 음양개법은 전문지식과 풍수지리설을 가지고 중앙귀족들의 부패와 안정을 희구하는 일반 백성들의 염원을 종합하여 비기(秘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본다
풍수가 언제부터 유행하게 되었는지는 구구한 설이 많다. 그 중 가장 유력한 설에 의하면 중국의 전국 시대로부터 진대(秦代)에 걸친 시대 에 형성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원형을 따지자면 주대(周代)에 소박한 형태로 나마 도읍·성시(城市)·궁실·동리·영조(營造) 때에 상지(相地)·상택(相宅)을 했음을 알 수 있다.(詩經)
그러나 죽은 조상을 길지(吉地)에 묻으면 후손에게 부 귀영화가 있다는 관념은 진한(秦韓) 시대에 이르러 분명히 나타나고 유행하는 것 같다.
이와 같은 사고와 관련하여 한대(漢代)에 이르면 특히 음양설(陰陽說)이 도입되어 완전하게 되며, 그리하여 풍수의 경전인 청오경(靑烏經)이 편찬되어진 다 이후로 풍수삼사(風水三師)라 일컬어진 청오자(靑烏子), 곽박, 장자미는 풍수 의 대가로 일컬어졌다.
남북조시대에 이르면 풍수사상이 한층 발전하여 이 방면 의 대가를 많이 내었다. 이때의 택경(宅經)의 궁택에 관한 것이며, 궁택에 대하 여 음택(陰宅)의 이론을 붙이기는 이 남북조시대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풍수설은 주거와 취락(聚落)을 주로 다루는 양기풍수(陽基風水)가 먼저이고, 그 뒤에 음기풍수(陰基風水)라는 묘지상점(墓地相占)의 방법이 덧붙여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당대에도 여러 풍수사가 나온다.
우리 나라에서는 기록에 의하면 이 미 삼국초기에 땅의 물질적 소여(物質的 所與) 뿐만 아니라 본질적 지기(本質的 地氣)에 대한 이해가 있었음을 알게 해주는 대목이 있다. 신라 제4대 탈해(脫解) 임금이 삼일월형길지(三日月形吉地)를 계책을 써서 빼앗은 얘기. 고구려 대무신 왕(大武神王)의 부여 정벌을 위한 땅의 묘한 징조 얘기, 고구려 민중 왕이 사냥 중에 석굴을 발견하고 죽은 후 묻어달라고 했다는 기록 등이 그런 예들이다.
고구려와 백제의 고분에서 발견되는 사신벽화(四神壁畵)는 풍수가 상당정도 체계화 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은 풍수사상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고 풍 수적 사고관념이 마련되고 있던 시기로 할 수 있다.
명백히 사상체계를 갖춘 풍수지리설은 신라 말 도선국사(道詵國師)에 의해서라고 믿어진다. 신라 말의 대표 적 선승이자 풍수가인 그는 이 방면에서 상당히 조예가 깊었던 인물로 보여진다. 그는 중국의 구조화된 풍수지리를 이론적으로 받아들여 그것을 체계적으로 한반 도에 투영시킨 인물이었다. 도선이 당시의 음양개법은 전문지식과 풍수지리설을 가지고 중앙귀족들의 부패와 안정을 희구하는 일반 백성들의 염원을 종합하여 비기(秘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본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