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를 상승시키는 인테리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princeton 댓글 0건 조회 2,583회 작성일 10-08-21 14:02
본문
우리집의 중심점과 방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기본
요즘처럼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형태에서는 개개인이 원하는 방위의 집을 선택하기는 어렵다. 완벽하고 이상적인 집을 찾느라고 고생하는 것보다는 자신이 살고있는 집을 기가 잘 통하고 생동감있는 집으로 만드는 것이 지혜롭고 실용적인 태동일 것이다. 병도 진단 후에 치료가 가능하듯, 자신의 집이 어떤 방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야 한다.
우선 집 안의 각 공간을 표시한 평면도를 그린다.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베란다를 제외한 내부공간을, 단독주택은 마당과 차고를 제외한 공간을 그린다. 그 다음에 평면도에서 집의 중심점을 찾는다. 사각형 집인 경우 정확히 4등분을 해서 생기는 중심점을, 사각형이 아닐 경우 볼펜이나 송곳같은 뾰족한 것 위에 평면도를 올려놓아 균형을 이루는 점이 중심점이다. 세번째, 실제 집의 중심점이 되는 바닥에 평면도를 놓고 평면도에 동, 서, 남, 북의 4 방위를 표시하고 남과북, 동과서를 잇는 선을 긋는다. 다섯번째, 각도기를 이용해 4방위에다 좌우 15도씩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거실의 창 방향을 확인한다. 이때 거실의 방향이 집 전체의 방위를 말한다.
집안 기운을 잘 통하게 하려면 청결과 정리정돈이 최고
집의 방위와 상관없이 모든 집은 북동쪽과 남서쪽에 신성한 기운이 있다. 현관에 들어서서 집을 바라볼 때 우측의 대각선상에 위치한 지점, 이 네 곳이 기가 흐르는 지점이다. 이 지점은 특별히 환기와 청결에 신경써야 한다. 집의 중심점 역시 마찬가지다. 또 사람들이 다니는 복도와 현관에도 불필요하거나 큰 물건을 두지 말아야 한다. 창은 항상 맑게 유지해야 하므로 깨끗이 닦아둬야 한다. 가급적 실내공간을 넓게 남겨두고 자주 환기를 시켜 기를 원활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기운찬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청소를 해서 집안 전체의 기운을 정돈해 주는 것이 좋다. 또 조명과 화분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좋다. 빛을 발산하는 조명은 집안에 생기를 주며 화분은 흉한 기운을 조절하는 중요한 소품이 된다. 침실을 제외하고 집안의 조명은 밝게 해야 한다. 특히 현관에는 밝은 조명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대개는 창고나 다용도실, 베란다의 좌우 끝에다 물건들을 잡다하게 쌓아놓은 경우가 많은데 기본적으로 흉한 기운이 감돌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라면 보조 조명이나 화분을 놓거나 작고 예쁜 풍경이나 소리나는 모빌을 걸어놓으면 기운을 조절해줄 수 있다. 또 복도(통로)나 거실의 에너지 흐름을 원할하게 만들어 준다. 각 방의 문이 한쪽에 몰려 있다면 기의 흐름에 좋지않아 가족의 호합을 해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작은 화분을 사용해 기의 충돌을 막아준다.
요즘처럼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주거형태에서는 개개인이 원하는 방위의 집을 선택하기는 어렵다. 완벽하고 이상적인 집을 찾느라고 고생하는 것보다는 자신이 살고있는 집을 기가 잘 통하고 생동감있는 집으로 만드는 것이 지혜롭고 실용적인 태동일 것이다. 병도 진단 후에 치료가 가능하듯, 자신의 집이 어떤 방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먼저 살펴야 한다.
우선 집 안의 각 공간을 표시한 평면도를 그린다. 아파트나 빌라의 경우 베란다를 제외한 내부공간을, 단독주택은 마당과 차고를 제외한 공간을 그린다. 그 다음에 평면도에서 집의 중심점을 찾는다. 사각형 집인 경우 정확히 4등분을 해서 생기는 중심점을, 사각형이 아닐 경우 볼펜이나 송곳같은 뾰족한 것 위에 평면도를 올려놓아 균형을 이루는 점이 중심점이다. 세번째, 실제 집의 중심점이 되는 바닥에 평면도를 놓고 평면도에 동, 서, 남, 북의 4 방위를 표시하고 남과북, 동과서를 잇는 선을 긋는다. 다섯번째, 각도기를 이용해 4방위에다 좌우 15도씩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거실의 창 방향을 확인한다. 이때 거실의 방향이 집 전체의 방위를 말한다.
집안 기운을 잘 통하게 하려면 청결과 정리정돈이 최고
집의 방위와 상관없이 모든 집은 북동쪽과 남서쪽에 신성한 기운이 있다. 현관에 들어서서 집을 바라볼 때 우측의 대각선상에 위치한 지점, 이 네 곳이 기가 흐르는 지점이다. 이 지점은 특별히 환기와 청결에 신경써야 한다. 집의 중심점 역시 마찬가지다. 또 사람들이 다니는 복도와 현관에도 불필요하거나 큰 물건을 두지 말아야 한다. 창은 항상 맑게 유지해야 하므로 깨끗이 닦아둬야 한다. 가급적 실내공간을 넓게 남겨두고 자주 환기를 시켜 기를 원활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기운찬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청소를 해서 집안 전체의 기운을 정돈해 주는 것이 좋다. 또 조명과 화분을 적절하게 활용하면 좋다. 빛을 발산하는 조명은 집안에 생기를 주며 화분은 흉한 기운을 조절하는 중요한 소품이 된다. 침실을 제외하고 집안의 조명은 밝게 해야 한다. 특히 현관에는 밝은 조명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대개는 창고나 다용도실, 베란다의 좌우 끝에다 물건들을 잡다하게 쌓아놓은 경우가 많은데 기본적으로 흉한 기운이 감돌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라면 보조 조명이나 화분을 놓거나 작고 예쁜 풍경이나 소리나는 모빌을 걸어놓으면 기운을 조절해줄 수 있다. 또 복도(통로)나 거실의 에너지 흐름을 원할하게 만들어 준다. 각 방의 문이 한쪽에 몰려 있다면 기의 흐름에 좋지않아 가족의 호합을 해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작은 화분을 사용해 기의 충돌을 막아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