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자산의 정의 > 회계&세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회계&세무


 

유형자산의 정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angelica 댓글 0건 조회 1,919회 작성일 14-01-29 05:00

본문

자산이란 과거 거래나 사건의 결과로서 현재 기업실에 의해 지배되고 미래에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을 말한다. 유형자산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자산의 정의에 부합해야 하며, 아래에서 서술하는 기타 정의와 조건을 충족해야 자산으로서 인식할 수 있다.
 
▶ 유형자산의 정의
 
유형자산이란 재화의 생산, 용역의 제공, 타인의 대한 임대 또는 자체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형체가 있는 자산으로서, 1년을 초과하여 사용할 것이 예상되는 자산을 말한다.
유형자산은 영업활동이나 제조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취득하는 자산이므로 투자를 목적으로 취득한 토지나 건물은 투자자산으로 구분해야 하며, 건설회사가 아파트 신축분양사업을 위하여 구입한 토지는 재고자산으로 구분해야 한다.
 
▶ 유형자산의 특징
 
(1) 유형자산은 영업활동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판매목적으로 취득한 것은 제외된다.
(2) 유형자산은 장기성 자산으로서 여러 해에 걸쳐서 기업의 수익창출에 기여하므로, 토지를 제외한 모든 유형자산은 내용연수에 따라 정기적으로 감가상각을 통하여 비용화하여야 한다.
(3) 유형자산은 물리적 실체를 가지는 자산이다. 유형자산은 실물자산으로서 구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특허권, 영업권 등과 같은 무형자산과 구분된다.
 
※ 유형자산의 회계처리문제
(1) 유형자산의 취득 : 자산을 분류하고 취득원가를 결정한다.
(2)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을 내용연수에 걸쳐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배분하여 비용으로 반영한다.
(3)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 사용기간 동아네 그 유지 및 개선을 위하여 지출된 금액을 자산의 원가에 포함(자본화)시키거나 당기의 비용(수익)으로 처리한다.
(4) 유형자산의 처분 : 처분가액과 장부에 계상되어 있는 금액과의 차액을 처분손익으로 인식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