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 내부장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pistory 댓글 0건 조회 1,588회 작성일 14-03-13 09:41
본문
매장 내부는 고객이 점포 안으로 들어왔을 때 구매 욕구를 높일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품을 보다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각종 집기를 배열하는 것은 물론 판매업의 경우 상품을 취급하기 편하도록 일정한 기준을 정하여 구획을 나누는 것이 유리하다.
조명
점포의 외부나 조명도 매출액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외부조명은 고객을 끌어들이고 내부조명은 고객이 상품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편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조명은 물건이 잘 보이게하며 스포트라이트로 진열된 상품을 강조하기도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조명은 고객을 사로잡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점포 안은 전체적으로 밝게 하는 것보다 밝은 곳과 어두운 곳을 적절히 조절해 주력상품이 눈에 잘 띄게 해야 한다. 점포 안이 전체적으로 너무 밝게만 보이면 주의가 산만해져 구매의욕이 상실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쇼윈도 위와 카운터, 물품진열대 위쪽 등에 스포트라이트를 적절히 이용하면 훨씬 매력적인 매장으로 꾸밀수 있다.
설치할 때 고려사항 |
* 조명은 고객이 상품에 집중하도록 되어 있는가
* 색깔은 잘 조화되어 있는가
* 상품들이 적절히 강조되어 있는가
* 종업원들이 일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충분히 밝은가
* 조명에너지의 낭비는 없는가
* 점포의 분위기와 어울리는가
(어두운 조명은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조성하고 할인매장은 강한 빛을 사용한다) |
색깔
실내장식과 어울리며 상품을 돋보이게 하는 색상으로 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색깔은 상점 무드와 이미지를 창조하여 고객의 관심을 고조 시킬수 있어야 하며, 색깔은 상품의 진열과도 관계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점포 내부의 색깔은 고객의 입장에서 선택해야 한다. 여성을 상대로 하는 사업은 흰색과 파스텔을 사용해 밝고 호화로운 느낌을 주도록 하고, 어린이가 주고객인 유치원, 장난감 가게등은 노랑, 빨강, 파랑등 원색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이다. 특히 젊은 층을 상대로 하는 점포일수록 파격적인 색깔과 디자인을 해야 손님을 끌수 있다. 그러나 어두운 색상과 자재는 피하는 것이 원칙이다. 어두운 색상은 답답하고 좁은 느낌을 준다. 또 분위기를 무겁게 하기 때문에 소점포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여성의 내의를 취급한다면 침실분위기를 위하여 은은한 색으로, 젊은 신세대 고객을 위한 상품이라면 밝고 강한 색으로, 진열장이나 카운터는 흰색 또는 회색 같은 중성색으로 하여 상품으로부터 관심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검은색은 보석 같은 고급상품의 진열에, 순수함을 강조하는 화장품 관련 상품은 백색을 이용하기도 한다.
벽과 바닥
벽도 바닥처럼 의도하는 바에 따라 재질, 색깔을 잘 선택하여야 한다. 시멘트에 페인트를 칠할수도 있고 벽지를 바를수도 있으며 목재나 최신 재질을 이용하기도 한다. 벽면에 거울을 달거나 점포 일부를 계단식으로 높이면 실제 점포보다 넓게 보이게 할수 있다. 바닥의 재질은 상품의 분위기 조성과 관계있다. 고급상품은 카펫 종류가 어울리며 운동구나 구두점은 윤택한 나무바닥이 어울린다.
집기, 장비와 내부진열
집기라 함은 상품의 판매, 진열, 저장, 보호 등에 이용되는 내구재를 말하며 진열장, 캐비닛, 상자, 선반, 카운터, 테이블 등이 있다. 장비라 함은 판매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보조하는 내구재를 말하며 금전등록기, 엘리베이터, 점내 운반장비, 배달장비(오토바이, 차량)등이 있다. 내부진열은 점포의 계획단계부터 기본적인 윤곽을 검토하여야 한다. 이는 점포인테리어나 필요한 집기, 장비 등을 준비하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되고 매우 중요한 사안이므로 레이아웃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분위기창출 및 보조용품
분위기는 점포사업자가 특정 목표고객을 위하여 조성한 물리적 환경과 구매분위기에 따라 만들어지는 심리적 효과를 말하는 것이다. 즉 사업자가 구매자의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감각반응)을 자극하는 총체적 노력의 결과이다. 조명과 함께 음악이나 사진, 미술품 등의 소품들도 점포 분위기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특히 음악은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음악에 따라 고객층이 구분되기도 하고 매상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진이나 그림은 한가지를 고집하는 것보다는 계절이나 유행에 맞춰 교환해주는 것이 좋다.
시각은 고객이 점포 내를 두루두루 살펴볼수 있도록 레이아웃이 기획되어야 하고, 청각을 이용하여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는 방법은 음악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인 방법이며 음악은 매출을 올리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악은 점포에서 다루는 상품 및 고객의 취향에 알맞아야 한다. 음악 이외에도 소리가 있는데 장난감가게에서 장난감의 소리를 나게 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후각은 좋은 냄새가 구매를 촉진시키는 경우를 말하며 음식냄새를 피우거나 향을 뿌리기도 한다. 미각은 무료시식이나 시음 또는 소량판매 등의 방법이다. 촉각은 고객이 만져 보거나 집어드는 단계로 거의 판매단계에 도달한 경우이므로 판매원은 고객이 상품과 접촉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매장에서는 고객이 손쉽게 만져보거나, 입어보거나, 신어보는 일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수 있는 분위기를 제공할수 있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