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과거 최소 10여회 폭발 > 인생수첩 엿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생수첩 엿보기


 

백두산 과거 최소 10여회 폭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엘렌공주 댓글 0건 조회 1,264회 작성일 10-10-29 14:00

본문

image_display_origin.php?ImageID=2010102918310980784_1.jpg

최근 백두산 화산 폭발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가운데 백두산이 그동안 최소 10여차례 이상 폭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계에 따르면 백두산은 900년대부터 시작해 1903년의 마지막 폭발에 이르기까지 약 100년에 한 번 꼴로 폭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1903년 이후 2002년도부터 백두산 폭발에 관한 관련 논문이 급증했던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각종 고서에서도 백두산 폭발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실록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세종 2년(1420년) 5월 천지의 물이 끓더니 붉게 변했다. 소떼가 크게 울부짖었고 이러한 현상은 열흘 이상 지속됐다.....검은 공기는 인근지역으로 가득 퍼졌고.....세종 3년이 되던 해 봄, 이틀 동안 먼지와 검은 재가 하늘에서 쏟아져 내렸다."

"현종 9년(1668년) 4월에 한양과 함경도 등 일대에 동시에 검은 먼지가 하늘에서 쏟아져 내렸다."

"숙종 28년(1702년) 6월, 한낮에 함경도 지역 일대가 갑자기 어두워지며 비린내가 나는 황적색 불꽃이 날아왔다.....같은 날 인근 지역 현성에서는 연기가 가득한 안개가 갑자기 북서쪽 지역에서 몰려들어.....사방에 생선 썩는 냄새가 나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눈송이 같이 날아다니던 재는 1촌(약 3cm) 두께로 쌓였고, 재는 마치 나뭇조각 같았다."

백두산 폭발을 국운과 연관 짓는 시각도 있다. 백두산 대폭발이 있었던 920~940년 사이 발해가 멸망했고 1903년 마지막 폭발 이후 1910년에 우리나라가 일본에 합병됐기 때문이다.

올해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쇠약설과 북한 정권 교체설 등을 근거로 백두산의 폭발 전조현상이 북한의 몰락을 예고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과 교수 등은 지난 27일 백두산이 분화한다면 최근 항공대란을 불러온 아이슬란드 화산폭발의 10배에 달할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한 바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