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골디락스' 행성 발견 > 인생수첩 엿보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인생수첩 엿보기


 

최초의 `골디락스' 행성 발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엘렌공주 댓글 0건 조회 1,406회 작성일 10-09-30 13:26

본문

 

중심별로부터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 생명체가 살기에 꼭 알맞은 이른바 `골디락스' 영역에서 처음으로 행성이 발견됐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보도했다.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진은 지구로부터 약 20광년 떨어진 천칭자리의 적색왜성 글리제 581 주위에서 발견된 행성 글리제 581g가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에 매우 적합한 거리에 있음을 확인했다고 천체물리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


만일 이 행성에 물이 있다는 것이 확인된다면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최초의 행성이자 가장 지구와 닮은 외부 행성인 셈이다.

연구진은 지난 11년간 하와이 케크 천문대에서 첨단 기술과 재래식 우주 망원경을 모두 사용해 관찰한 결과 이런 성과를 얻었다면서 "관찰 대상 항성의 수가 적은 데 비해 이처럼 빠른 시간 안에, 이처럼 가까운 거리에서 골디락스 행성을 발견했다는 것은 이런 행성이 매우 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37일 주기로 공전하는 글리제 581g는 질량이 지구의 3~4배 정도인데 학자들은 질량으로 미뤄 이 행성이 고체 표면의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기를 붙잡아 두기에 충분한 질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글리제 581 주변에서 581g를 비롯, 두 개의 행성을 새로 발견했는데 이전에 발견된 행성들도 생명체 존재 가능성으로 행성 추적자들을 흥분시켰었다.

그러나 행성 c는 골디락스 영역의 뜨거운 쪽에, d는 추운 쪽에 위치해 있어 물의 존재 가능성이 의심스러웠던 반면 행성 g의 표면 온도는 섭씨 영하 32도에서 영하 12도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학자들은 그러나 행성 g가 중심별의 기조력에 갇혀 있어 항상 같은 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중심별을 향하는 쪽은 매우 뜨겁고 반대편은 꽁꽁 얼어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 행성에서 생명체가 살만한 곳은 `명암경계선'으로 불리는 양지와 음지의 중간지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이 행성의 성분이 지구와 같은 암석질이라면 지름은 지구의 1.2~1.4배일 것이며 표면의 중력은 지구와 비슷하거나 약간 큰 정도여서 사람이 쉽게 똑바로 서서 걸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골디락스 행성이 이처럼 빨리 가까운 거리에서 발견된 것으로 미뤄 이런 종류의 행성이 행성의 10~20%에 달할 것이며 우리은하 안에 이런 행성이 수백억개는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