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 여학생의 동영상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 한국사는 사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한국사는 사람


 

백인 여학생의 동영상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페이지 정보

작성자 harvard 댓글 0건 조회 1,813회 작성일 11-04-21 11:31

본문

최근 미국은 한 편의 유튜브 동영상 때문에 파문이 일고 있다. 현재 UCLA에 재학중인 백인 여학생이 제작한 이 동영상은 같은 학교에 다니고 있는 아시안(동양) 학생들의 행동을 비하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알렉산드라 월레스라는 이 여학생은 동영상을 통해 아시안 학생들의 매너(manner)에 문제가 있다며 노골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또 주말이면 부모(가족)들이 아파트에 몰려와 빨래와 음식을 하느라 분주하다며 자녀들의 독립성을 키워주지 않는 부모들까지 비난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도서관에서 전화 통화를 하는 아시안 학생들의 매너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통화하는 아시안 학생의 모습을 흉내내기도 했다. 문제의 동영상이 학교내에서 상반된 의견을 보이자 학교측에서 서둘러 문제 해결에 나섰지만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이 여학생의 행동에는 분명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이는 많은 아시안 학생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 중 일부를 꼬집은 것이다.

  우리 나라를 포함 대부분의 아시안 부모들은 자녀가 공부에 열중하고 나중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를 희망한다. 이를 위해 부모들은 다양한 과외활동과 사설학원 등에 적지 않은 돈을 들여가며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하지만 이보다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있다. 바로 '소셜 스킬(social skill)' 을 키워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소셜 스킬을 키워줘야 할까? 

  소셜 스킬을 그대로 번역하면 사회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소셜 스킬에는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자녀들의 관점에서 생각한다면 대인관계에서의 판단력과 대응력을 키워주고, 학업과 리더십 능력 향상에도 중요한 밑거름이 된다. 과거 힐러리 클린턴 현 국무장관이 퍼스트 레이드로 있을 당시 사회성 기능에 대해 강조하면서 "가족의 가치관을 중시하는 것이 지식교육에 앞서야 한다" 고 말한 바 있다.

  두 사람 이상이 모이면 곧 인간관계의 시작이 된다. 이때 사회적 규범과 관습, 전통, 문화 등에서 벗어나지 않는 행동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공부보다 훨씬 중요하다는 것이다. 보다 쉽게 정리하면 가정과 커뮤니티 그리고 학교에서 배우는 행동들이 타인으로부터 배척당하지 않는 것은 물론, 한 발 더 나아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생산적인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는 인물로 키워야 한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자녀가 공부를 잘하는 우수한 학생으로 평가받기를 원한다면 그 바탕이 되는 소셜 스킬도 중요하게 생각해야 된다. 이는 사회적 기능 능력을 키우는 과정에서 스스로의 판단력과 대응력을 갖추게 해준다. 다시 말해 본인 스스로 무엇이 중요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하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스스로 해결해 내는 능력을 갖춤으로써 학업에서도 보다 분명한 의지와 수행능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솔직히 우리 사회는 성적 중심으로 옮겨간 지 오래다. 오로지 점수에 매달리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장기적 안목에서의 균형 잡힌 자녀교육에 소홀해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요즘 재정난으로 인해 대부분의 학교 교육에서 이런 이슈에 관심을 기울일 여력이 없다. 결국 부모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하는 셈이 돼 버렸다. 하지만 무엇이 문제이고, 그리고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생각해 보지 않았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가 말을 하기 시작하면 글자가 적힌 카드를 보여주고, 조금 더 크면 숫자를 가르치려고 애를 쓴다. 그리고 남들보다 조금 빠르면 자신의 아이가 무척 영리한 두뇌를 가진 것으로 착각한다. 물론 조기교육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식 교육보다는 인성 등 사회적 능력을 키우는데 투자를 한다면 나중에 훨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구성원들과의 대화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끝까지 듣고, 정돈된 자신의 의견을 통해 분명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면 나중에 사회에 진출해서도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또 그런 사람들은 다른 구성원들로부터 환영받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