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 국가들의 인터넷 차단에 대응해 `그림자 인터넷' 개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936회 작성일 15-07-24 07:43
본문
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독재 국가들의 인터넷 차단에 대응해 국가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할 수 있는 `그림자 인터넷ㆍ이동통신(shadow internet and mobile system)'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이는 `아랍의 봄'으로 불리는 중동의 민주화 시위 과정에서 독재 국가들이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검열하거나 차단해 반체제 인사들의 의사 교환과 시위 계획을 막는데 대한 대응책으로 나온 것이지만 외부 정보를 엄격히 통제하는 북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실제 인터넷은 호스니 무바라크 전 대통령을 몰아낸 이집트 사태 등 중동의 민주화 시위를 확신시키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12일(현지시각) 자신들이 입수한 관련 서류와 비밀 전문 등을 통해 미 정부가 외국에서 해당 국가의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광범위한 지역에 무선망을 구축해 국제 인터넷과 접속할 수 있는 `IIS(Internet In a Suitcase)'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미국 정부가 개발한 기술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독재자들의 폭압을 전 세계에 알리고 시위를 계획하는 해커들의 기술도 동원됐다.
ISS는 특수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네트워크망으로 국가가 통제하는 망을 이용하지 않고 컴퓨터나 휴대전화 사이의 정보 이동을 자유롭게 해 준다.
IIS를 이용하면 이란, 리비아, 시리아 등 인터넷을 검열하거나 차단하는 국가에서도 반체제 인사들이 자국의 통제 범위를 벗어나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고 프로젝트에 참가한 한 인사는 밝혔다.
미국 정부는 이미 아프가니스탄에서 5천만 달러를 들여 독립적인 무선전화망을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미국은 아프가니스탄에 있는 자신들의 군 기지에 통신 기지국을 설치해 아프가니스탄 정부의 통신망을 차단하는 탈레반에 대응하고 있다.
미국은 무선 통신은 아니지만 미국의 소리(Voice Of Ameica) 등 라디오를 통해서도 독재 국가에 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NYT는 또 외교전문을 인용해 2009년 5월 김씨 성을 가진 한 탈북자가 중국 선양(沈陽)에서 미 영사관 관계자를 만난 사실을 전하면서 김씨가 중국 단둥(丹東)에서 휴대전화로 국경을 넘는 통화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ISS가 북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NYT는 북한 주민들이 인터넷을 통해 중국의 제한된 사이트와 얼마 되지 않는 북한의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