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영양소 (PHYTO-NUTRIENTS)란 무엇인가? > 백세클럽 회원수칙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백세클럽 회원수칙


 

식물성 영양소 (PHYTO-NUTRIENTS)란 무엇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168회 작성일 09-10-03 06:30

본문

식물성 영양소 (PHYTO-NUTRIENTS)란 무엇인가?

   다음은 식물성 음식에 어떤 성분들이 들어있고 이 성분들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하여 과학적인 논거들을 찾아서 알아보기로 한다.

  왜 식물성 영양소가 중요한가?
 
  집안의 어린이들에게 과일과 채소를 먹이려고 노력하지 않는 부모는 별로 없을 것이다. 타일러 보기도 하고, 협박을 해보기도 하고, 때로는 뇌물을 주기까지도 하면서 과일이나 채소를 먹이려고 한다.
  왜 그럴까? 과일이나 채소에는 비타민, 광물질 및 섬유질이 들어있고, 몸에 좋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있기 때문이다.

  근간에는 각종 과일이나 채소 속에 비타민이나 광물질 이외에도 건강에 좋은 여러 가지 물질들이 들어 있음을 알아내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서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이 대두되고 있는 중이다.

  그중 가장 많이 연구가 되어있고 또한 많은 사실들이 알려지고 있는 부분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한다.
  특정한 과일, 채소 또는 전곡류를 섭취했을 때 특정한 병이 호전됨이 관찰된 바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조사는 별로 되어있지 않지만, 전통적으로 이런 음식들이 치료방법으로 쓰여져 오고 있었다. 이는 많은 민간요법들이 과학적인 근거 없이 사람들 사이에서 쓰여져 오고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음식물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조사가 이루어지면서 모든 사실을 정리를 할 때가 온 것이다.
 
  1900년도 미국의 삼대 사망원인(31%)은 폐렴/인푸루엔자, 폐결핵, 설사/장염 등 각종 감염증들이었다.
  이런 상황이 1940년대에 들어서는 그 양상이 급격히 변하게 된다. 공중위생이 발달하고, 영양섭취가 호전되었고, 항생제가 나왔기 때문이다. 위의 삼대 사망원인의 내용이 달라지게 된 것이다. 예로 폐렴/인푸루엔자로 인한 사망원인이 12%이었든 것이 3.6%로 줄어들었다.

  1940년대 이후로는 삼대 사망원인이 심근경색증, 암, 뇌졸중으로 바뀌게 된다. 1900년대의 이 세 가지 병으로 인한 사망원인은 20% 정도밖에는 안되었는데,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이들 세 가지 병으로 인한 사망원인이 60%로 껑충 뛰어 오르게 된다.
 
  위의 내용을 분석할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폐렴/ 인푸루엔자, 폐결핵 및 설사/장염은 나이와 상관없이 걸리게 되는 병이다. 즉 많은 사람들이 젊은 나이로 죽은 것이다.
  그러나 호전된 위생, 영양상태 및 항생제의 등장으로 위와 같은 병들을 고칠 수 있게됨에 따라, 이로 인하여 사람들이 죽는 확률이 줄어들게 된 결과, 사람들의 수명이 길어지게 되었다.
  즉 심근경색증, 암 및 뇌졸중은 대부분이 나이가 든 이후에나 걸리는 성인병인데 사람들은 전염병으로 죽는 것이 아니라 성인병에 걸려서 죽게된 것이다.
 
  사람들은 이제 나이가 들어서 죽게된 것이다. 그러나 나이가 든 이후에도 노쇠현상으로 죽는 사람은 1% 밖에 안되고 나머지 99%는 병으로 죽고 있는 실정이다.

  전에는 폐렴/인푸루엔자, 폐결핵 및 설사/장염 등으로 죽지 않는다면 죽을 일들이 별로 없었다.

  요즈음처럼 암, 심근경색증, 뇌졸중과 같은 각종 성인병으로 죽는 예가 적었던 것이다. 즉 전에는 사람들이 늙어서 죽었던 것이다. 전에는 집에서 자다가 죽은 할아버지나 할머니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
  그러나 요즈음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병원에서 죽는다. 즉 사람들이 늙어서 죽는 것이 아니고 병들어 죽게 된 것이다.
 
  바로 여기에 식물성 영양소에 대한 흥미가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위에 언급한 성인병은 하나같이 예방이 가능한 병들이다. 즉 음식생활과 운동을 잘하고 스트레스를 잘 해결할 수만 있다면 성인병들은 예방할 수 있게된다. 앞으로 채식의 우월성에 대하여 논의하겠지만 우선 채식의 주를 이루는 과일과 채소 및 곡물에 대한 과학적인 고찰을 해 보고자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