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들의 현주소 : 비만증 > 백세클럽 회원수칙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백세클럽 회원수칙


 

현대인들의 현주소 : 비만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1,251회 작성일 09-10-02 12:45

본문

현대인들의 현주소 : 비만증

  현대인들의 생활습성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습성 중에서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음식물이다. 건강유지에 절대로 중요한 음식생활이 근본으로부터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음을 앞에서 알아보았다.
그러나 음식물 속에 들어있는 각종 환경오염물질을 논하기 전에, 우선 현대인들은 음식물을 신경안정제로 쓰는 경향이 점점 확실하게 드러나고 있다.

  음식물의 부족은 인류역사와 같이 간다. 옛날부터 음식은 호의 그 자체였다. 음식을 제공받는다는 것은 생명유지를 의미했다.
  따라서 음식물이란 생명과 동일시되다시피 여긴 것이다. 그런 역사적인 배경 아래, 현대에서는 음식물이 생명유지에 필요하기보다는 음식물을 제공하는 사람의 호의의 제스처로 받아들여진다.

  한 가지 차이점이란 옛날에 비해서 음식물이 차고 넘친다는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은 외롭다는 것으로 규정지을 수 있다. 
 
  인간관계가 중요했던 옛날에 비해 오늘날의 현대인들은 물질소유가 더 중요하게 되었다. 대인관계의 중요성보다는 얼마만큼의 물질을 소유하는지가 더 중요하게 된 것이다. 사람들 사이가 점점 멀어지면서,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점점 외로워지게 된 것이다. 그 외로움을 달래는 방법으로 각종 전자기구에 의존하거나 아니면 값싸고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음식물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항상 있어오던 영양부족이 이제는 영양과다로 바뀌게 되면서, 필연적으로 비만을 부르게 된 것이다.
 
  동아일보(애틀랜타 판 2007년 8월 4일)사설은 국가 차원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 아직은 한국의 비만문제가 미국과 같이 심각하지는 않지만, 성인 비만환자가 해마다 40만 명 이상씩 늘고있다고 했다. 여기에 소아 및 청소년의 비만율이 급속하게 상승하고 있다고 했다.(2005년 15%로 1998년에 비해서 두배)
 
  같은 동아일보 사설에 의하면, 비만은 다른 병을 끌어들이는 질병이다. 비만한 사람은 고혈압과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정상인의 5.6배, 2.9배나 된다.

  비만인은 각종 합병증으로 인해서 병원에 많이 갈 수밖에 없다. 이는 건강보험의 재정악화로 이어진다.라고 되어있다. 이어서, 비만은 사회적 비용을 늘리고 결국 국가경쟁력까지 떨어뜨린다.

  지난해 우리 나라에서 비만치료에 들어간 진료비와 소득손실은 2조 1천억원이 넘는 것으로 한국보건 사회연구원은 추산했다.라고 언급하면서, 결론으로, 국가정책 차원에서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추진할 때가 됐다라고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