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芍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타라곤 댓글 0건 조회 1,116회 작성일 11-11-16 11:11본문
호적이 바뀐 작약
분류학은 본초학과 뗄 수 없는 학문입니다. 정확한 본초의 기원은 분류학의 바탕에서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분류학은 생각외로 유동성이 풍부한 학문이어서, 종종 어제의 분류체계와 오늘의 분류체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오늘 다룰 작약도 분류체계의 변화에 따라 소속이 바뀌었답니다.
작약은 작약과(Paeoniaceae)의 작약속(Paeonia)에 속하는데, 예전에는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로 분류했었습니다. 미나리아재비과에서 분가해 나온 셈입니다. 대한약전에서는 작약과로 옳게 표기하고 있지만, 중국약전을 비롯한 여러 본초학 서적에서는 아직 미나리아재비과로 분류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작약은 작약과(Paeoniaceae)의 작약속(Paeonia)에 속하는데, 예전에는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로 분류했었습니다. 미나리아재비과에서 분가해 나온 셈입니다. 대한약전에서는 작약과로 옳게 표기하고 있지만, 중국약전을 비롯한 여러 본초학 서적에서는 아직 미나리아재비과로 분류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색깔론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작약
한의학에서 사용하는 작약에는 적작약과 백작약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적작약은 주로 혈핵순환을 돕는 데에, 백작약은 부족한 핏기를 보충하는 데에 씁니다. 하지만, 어느것이 적작약이고 어느것이 백작약인지 하는 논란이 아직도 끝나지 않고 있습니다. 꽃이나 뿌리의 색깔을 기준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설과, 껍질을 벗겼는지로 구분해야 한다는 설, 그리고 학명을 기준으로 구분해야 한다는 설이 있지만, 학계나 임상가에서 의견통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답니다. 옛 문헌이나 효능을 기준으로 한다면, 껍질을 벗긴 것을 백작약으로 하고 벗기지 않은 것을 적작약으로 하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친구가 많은 작약
대한약전(제8개정)에서는 적작약과 백작약의 구분 없이 ‘작약(Paeonia lactiflora)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작약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작약속의 식물은 40여 종에 이르고, 이중 작약과 비슷한 초본은 30여 종이나 되며, 이 중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것은 백작약(P. japonica), 산작약(P. obovata), 참작약(P. lactiflora var. trichocarpa), 털백작약(P. japonica var. pilosa), 호작약(P. lactiflora for. pilosella) 등입니다. 이름이 비슷비슷한 친구가 많아서 유통에 혼란이 생길 수 있습니다.
현재 개정 예고중인 대한약전(제9개정)에서는 작약의 항목을 없애고 ‘작약(Paeonia lactiflora)의 뿌리로서 주피를 제거한 후 삶아서 말린 것’을 백작약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기원문제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개정 예고중인 대한약전(제9개정)에서는 작약의 항목을 없애고 ‘작약(Paeonia lactiflora)의 뿌리로서 주피를 제거한 후 삶아서 말린 것’을 백작약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기원문제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의 작약
《동의보감》에서는 작약을 함박꽃 뿌리로 기재하고 있으며, 효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성질은 보통이거나 약간 차갑고, 맛은 쓰면서 시다. 약간 독성이 있다.”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기운을 내리며, 흰 것은 통증을 그치게 하고 뭉쳐 있는 핏기를 풀어 준다. 또한 흰 것은 보하는 데 쓰고 붉은 것은 사(瀉)하는 데 쓴다.”
“혈맥이 잘 통하게 하여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죽은 피와 종기를 없애며, 복통을 그치게 한다. 온갖 부인병을 다스린다. 대장의 출혈과 치루, 등에 생긴 종기와 옴을 치료하며, 눈이 충혈된 것과 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한다.”
“성질은 보통이거나 약간 차갑고, 맛은 쓰면서 시다. 약간 독성이 있다.”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기운을 내리며, 흰 것은 통증을 그치게 하고 뭉쳐 있는 핏기를 풀어 준다. 또한 흰 것은 보하는 데 쓰고 붉은 것은 사(瀉)하는 데 쓴다.”
“혈맥이 잘 통하게 하여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하며, 뱃속을 따뜻하게 하고 죽은 피와 종기를 없애며, 복통을 그치게 한다. 온갖 부인병을 다스린다. 대장의 출혈과 치루, 등에 생긴 종기와 옴을 치료하며, 눈이 충혈된 것과 눈에 생긴 군살을 치료하고 눈을 밝게 한다.”
작약의 응용처방
작약이 들어가는 처방을 몇 가지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이질설사에 : 황련과 작약을 2:1의 비율로 섞어 환으로 만들어 복용.
- 경련성 복통에 : 작약과 감초를 12g씩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
- 급성 열병에 : 작약 12g, 계지 12g, 황금 8g, 감초 4g, 생강 3쪽, 대추 2알을 물에 달여 복용.
- 눈이 충혈되고 아플 때 : 작약, 시호, 황금 3g씩, 감초 1.5g을 가루내어 물에 달여 복용.
- 이질설사에 : 황련과 작약을 2:1의 비율로 섞어 환으로 만들어 복용.
- 경련성 복통에 : 작약과 감초를 12g씩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
- 급성 열병에 : 작약 12g, 계지 12g, 황금 8g, 감초 4g, 생강 3쪽, 대추 2알을 물에 달여 복용.
- 눈이 충혈되고 아플 때 : 작약, 시호, 황금 3g씩, 감초 1.5g을 가루내어 물에 달여 복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