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 한파 대책 부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장미 댓글 0건 조회 836회 작성일 15-07-13 08:40
본문
미국 경제가 새해에 확실한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널리 확산되고 있는 때에 고용 시장으로부터 거센 한파가 밀려오고 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에 비농업 부문 일자리 창출 숫자가 7만 4000개 가량에 그쳤다고 10일 (현지 시간) 밝혔다. 이는 2008년 10월 이후 최저치이다. 비록 겨울철 등의 계절적인 영향으로 일자리가 줄어들었지만 이는 정부나 연방준비제도 (Fed·연준), 월가의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는 저조한 실적이다. 미국 경제계와 정치권은 노동 시장이 급랭한 원인을 분석하면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우선 경제계의 시선이 연준에 집중되고 있다. 연준은 지난 3개월 동안 고용 시장이 꾸준한 회복세를 보이자 양적 완화 규모를 기존의 월 850억 달러에서 750억 달러로 줄이는 테이퍼링을 이번 달부터 시행하기로 했었다. 연준은 또 양적완화 규모를 단계적으로 줄여 올해 안에 이를 완전히 종료할 것으로 예상돼 왔다. 연준은 노동 지표로 갑자기 혼란스런 상황이 조성됐지만 이번 달부터 점진적으로 테이퍼링을 시작하려는 기본 정책의 변화를 시도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이 이날 분석했다.
연준은 통화 정책 결정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회의를 이달 28,29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 연준은 양적 완화 규모를 이번 750억 달러에서 다음달부터 650억 달러로 줄이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벤 버냉키 의장은 연준이 올해 매달 100억 달러씩 양적 완화 규모를 축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시사해왔다.
미국 경제계에서는 노동 시장 위축 문제가 일시적인 현상인지 아니면 미국 노동 구조의 한계를 드러낸 것인지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미국 노동 시장에서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고, 핵심 노동 계층에 속하는 45∼54세 연령층의 노동 시장 참여율이 0.4% 포인트 떨어지는 등 구조적인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다른 경제 전문가들은 지난 달 12월 통계는 일시적인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큰 흐름에서 볼 때 무시해도 좋다고 주장했다.
미국 정치권은 장기 실업자를 대상으로 한 실업 수당 추가 제공 문제가 본격 논의하고 있다. 민주당은 약 130만 명으로 추정 되는 장기 실업자에게 지난달 말 시효가 끝난 실업 수당을 다시 제공하는 내용의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번 실업률 통계로 인해 이 조치에 반대하는 공화당의 세력이 약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일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