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럽 중세 초기 (500-1000) 1/25/11 > 김미연 아트노트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김미연 아트노트


 

서유럽 중세 초기 (500-1000) 1/25/1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뽕킴 댓글 0건 조회 6,784회 작성일 11-01-29 14:29

본문

중세 르네상스 미술  3rd hour: The Year 1000 서유럽 중세 초기 (500-1000)





비잔틴 미술 Byzantine Art (6세기)

Church of Hagia Sophia, Istanbul 532-37 
              
                 

중앙집중식을 강조하고 더 밝게 하기 위해 4 기둥 위에 삼각형 지지대를 세워서 천장을 더 높게 하는 device 인 펜던티브 Pendentive를 고안하여 아기아 소피아 성당에 처음으로 응용한다.  아기아 소피아 성당은 사람 중심이 아닌 의례 중심의 교회이므로 성당이 상대적으로 협소하며 자연 채광으로 이만큼 밝다고 할 수 있다.

Pendentive dome in Byzantium churches

               
                   
Dome 를 올리는데 반구로 된 지지대 역활을 하는 펜던티브를 세워서 천장을 더욱 높게 만든다.  펜던티브는 아기아 소피아 성당에 최초로 사용되고, 이후에 비잔틴 제국의 교회들이 웅장한 멋을 내기 위해 펜던티브를 사용한다. 비잔틴 제국의 교회 양식에서 제일 중요한 장식은 모자이크와 펜던티브이다.

Section and plan of Church of Hagia Sophia, Istanbul 532-37

                                


Interior of Hagia Sophia, Istanbul 532-37
             




터키족 Turks 의 오스만 제국 Ottomans Empire (1299-1922) 이 1326년에 비잔틴 제국을 정복한다. Turks 의 종교 이슬람은 신상을 만드는 것을 금하므로 아기아 소피아 성당의 장식에서 꽃무늬나 카펫 무늬 같은 것은 그대로 나두고 예수의 일생과 예언자 모자이크를 다 떼어내는데 이를 신상 파괴 (이코노클레시즘 Iconoclasm -- Image breaking) 라고 한다. 대신 코란의 성스러운 구절을 네개의 panel 에다 적어 넣었다. 군데 군데 아랍 글자가 있어서 14세기부터 500년 동안은 이슬람 사원인 모스크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모자이크를 다 떼어내지 못하고 회벽으로 칠한 곳도 있어서 현대에 들어와 자외선을 투시하여 몇개의 모자이크를 복구하기도 했다.

Byzantine Iconoclasm


 
비잔틴 제국의 726-843년 사이를 period of  Iconoclasm 으로 부르는데  구약의 십계명에 의거하여 사람, 양, 십자가 등 narrative 가 있는 내용을 이단시 하여 교회에서 다 뜯어내고 성상을 파괴한다. 하지만 기하학적인 꽃무늬 등은 그대로 수용했다. 

Dome Mosaic, Crucifixion, Church of Dormition, Daphni, Greece  Late 11th C
 


비잔틴의 동방 정교에서 사용하는 개념으로 크라이스트 팬토크레이터 Christ Pantocrator 로서 그리스도가 전지전능하신 구세주(Almighty, or Ruler of All things) 로 나타나며, 모자이크와 금벽으로 도미티안 교회를 장식했다.


서유럽 중세 초기(500-1000) 역사적 배경

Middle Age 는 3시기로 분류된다. 중세초기 Early Medieval 는 6-11세기 초까지 보며, 로마네스크 Romanesque는 11-12세기 초,  고딕 Gothic 은 12세기 중반-15세기로 본다. 고딕 미술은 거친 유목민인 고스족에게서 유래하는데 로마의 세련된 문화 스타일과는 거리가 먼 질서가 없고 혼돈스러운 미술이다.

4세기에 로마제국이 멸망을 하자 서유럽은 5세기 말에는 Germanic people 이 득세를 한다. 게르만족의 위대한 정치가 샤를마뉴 대제 Charlemagne (Charles the Great; 742 – 814) 는  Franks 족의 왕으로서 강력한 카롤링거 제국 Carolingian Empire (768-887) 을 세우는데 그의 사후에 프랑스, 독일, 이태리의 세 나라로 분리된다. 샤를마뉴 대제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서유럽 국가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당시의 미술을 Carolingian Art 라고 한다.  Carolingian Empire 가 쇠퇴하자 독일 쪽은 작센 왕가의 Otto 1, 11, lll 세가 신성 로마제국 Holy Roman Empire을 물려 받으며 오토니안 Ottonian Empire (919-1024) 는 정치적 중요성은 없지만 문화적으로는 중요하며 Ottonian Art  라고 불린다. Otto 2세는 비잔틴 제국의 공주 Galla Placidia 와 결혼을 하며 20-30년 동안 꾸준히 비잔틴 제국과 안정적인 교류를 한다.

중세초기는 조직적이고 단합된 종교를 바탕으로 여러가지 시도를 했던 시기이며 서유럽인들에게 암울한 내세우고 싶지 않은 과거인 Dark Age 이다. 중세의 미술은 그리스 로마 미술과 비교하면 세련미는 없지만 현대의 시점으로는 그 당시의 제한적인 사회 정치 구조 속에서 독자적으로 형성된 창의적인 미술이라는 긍정적인 재평가를  내린다. 

Invasion of the Roman Empire (100-500)


Europe of the Early Middle Ages (500-1000)


        
게르만족 Germanic People 은 인도 유럽피안족으로 북유럽의 Baltic Sea 의 척박한 땅에서 목축과 사냥을 하던 종족인데 Ice age 의 마지막 몇십년에 이르러 기후가 너무 추워지자 로마제국 시대100 년 부터 생존을 위하여 남쪽으로 이동을 하여 지중해권으로 밀고 들어온다. 문화의 혜택을 누리며 살던 로마제국 변방의 식민지권 사람들과 먼저 부딪치며 마찰이 생긴다. 로마제국은 몇십년 동안 계속되는 게르만족의 대이동으로 인해 법과 질서가 교란되고 제국의 체제가 와해되어 4세기에 멸망한다. 미개한 유목민 Barbarian 인 게르만족, 훈족이 로마의 영토 안으로 들어오고 로마는 변경 지역부터 밀리기 시작한다.   

Anglo-Saxons, Franks, Goths 는 서유럽의 황금기 12세기를 주름잡은 종족들이다. 영국은 셀틱 Celtic 족이 아일랜드와 스코트랜드에 살고 있었으며, 5세기에 Angles 와 Saxons 족, 게르만족이 영국으로 이동하며 이들을 다 합하여 영국인 Anglo-Saxons 이라고 한다. 프랭크족은 라인강의 동쪽과 서쪽에 살던 West Germanic tribe 이며, 고스족 Goths 은 East Germanic tribe 로서 5-6 세기에Visigoths 와 Ostrogoths 로 나누어진다. 고스족은 4세기에 서로마 제국의 멸망을 초래하며 로마의 문화를 훼손한다.

이외에도 동쪽의 훈족이 서유럽으로 내려오며 반달족 Vandals 은 북아프리카의 찬란한 문화를 초토화 시키면서 지나간다.  이들은 문화에 대한 이해와 학습이 전혀 없는 유목민으로 문화에 대한 생각 자체가 아예 없는 사람들이었다. 반달족은 북아프리카의 브론즈 미술품들을 다 녹이는데,  돈만 대면 뭐든지 녹이는 문화 훼손 행위를 거침없이 한다. Vandalism 이 반달족에서 나온 단어이다. 중세의 게르만족의 이동시기에 일어났던 이야기들이다.

Insular Art (영국과 아일랜드 England and Ireland 미술)





영국과 아일랜드의 미술 Insular Art 는  animal motifs 와 interweaving pattern 을 사용하는 브로치 등의 금속공예인 장식미술로서 Hiberno-Saxon Style 이라고 하며 우리나라의 삼국시대 미술과 비슷한 유형이다. 그리스 로마 미술의 세련미, 영웅적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 앵글로 색슨족은 토착 종교인 독일계 이교도 Germanic paganism를 믿고  있었는데 마녀를 불 태우는 등 이상한 제례가 성행하고 있었다. 4-6 세기에 선교사들에 의해 기독교가 들어옴에 따라 점진적으로 기독교 교리에 노출이 되는데 7-8세기에 기독교화가 이루어지며, 이단 종교인 Arian Christianity 과 Orthodox Catholics 으로 나누어 진다. 프랑스 북부 출신의 선교사 St. Patrick  (387- 461) 이 아일랜드로 가서 기독교를 전파하는데 3월 17일을 St. Patrick’s Day 로 정하고 religious holiday 로 기념한다. 섬 밖을 나가본 적도 없는 무지몽매한 영국사람들이 삼위일체 Holy Trinity 교리를 이해하기 힘들고 이런 이유로 인해 10-13세기 까지도 이단종교가 수두룩했다. 13세기에 교황이 대표를 파견해 마을마다 돌아다니면서 정통인지 아닌지를 물어본다.

1. Tara Brooch, Bettystown, Court  Meath, Ireland 8C


 
셀틱족의 미술품인 브로치이다.

2. Golden Buckle from Sutton Hoo Burial Ship, Suffolk, England first half of 7th C



Anglian King Redwald 가 626년에 죽자 바다에 수장을 하는데 배에 함께 수장한 의례용 사치품들의 유물이 1960년대에 Sutton Hoo 에서 발견되었다. 셀틱족의 고유 디자인인 interweaving pattern, animal head 와 tail, 물고기, 새 등의 동물 motif 의 장식문양이다.

Hinged Clasps from Sutton Hoo Burial Ship


 
기하학적 문양과 매듭 interweaving, 동물 무늬가 보인다.

Purse Cover from Sutton Hoo Burial Ship


 
사람이 중간에 있으며, 늑대, 큰 새, 뱀 등의 대칭적 배열이다. 토착 유목민들의 예술의 전통을 발달시킨 것으로 기독교적 맥락은 전혀 없고 나중에 기독교 성서의 삽화에 토착 문양을 응용한다. 600-800 년 사이를 아일랜드의 golden age 로 보며 이 시기에 기독교 문화가 전래되고 수도원이 나타난다. 이 시기의 미술을 Hiberno-Saxon Style 이라고 부른다.

섬에 갇혀서 마녀를 불태우는 이상한 제례를 하고 배를 타고 도버해협을 건너고 또 아일랜드까지 건너가야 하는 이 위험한 지역에 왜 기독교 선교사들이 나타났을까? 서유럽은 로마제국이 멸망하면서 무법천지가 되고 일반인들은 현실적으로 기댈 곳이 없어진다. 사회 구제 기능의 필요성에 맞닥뜨리게 되고 새로운 사회적 돌파구가 필요했던 사람들이 자신의 경력을 쌓기 위하여 기독교 정신으로 무장된 성스러운 인간형 모델로서 Holy Man 이 출현한다. 이들은 holy warrior 가 되어 신의 뜻을 구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일하며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라서 공동체를 만드는데 이것이 수도원 monastery으로 발전한다. 통상적으로 도시에서 뚝 떨어져 있는 시골의 수도원은 예수님처럼 이웃을 돕는 구호 단체가 되어 지역 사회인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병자를 치료해 준다. 무지몽매하고 위험스런 600- 1000 년대의 유럽 사회에서 수도원은 지역인들에게 힘을 주는 권위있는 institution 의 역활을 한다. 똑똑하고 신심이 좋은 아들을 둔 농부는 수도원에 가서 자식을 받아달라고 청탁을 하면 새로운 monk 가 그 지역에서 나오게 되고, 또한 교황청에서 임명을 받은 priest 가 되기도 하여 그 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이 된다.  정치력이 사회를 받쳐주지 못하는 격동의 시기에 사람들은 기독교 중심의 수도원에 의지한다.

5-12세기의 수도원은 교육과 예술을 이끄는 문화생활의 중심지가 된다. 돈 있는 사람들이 하느님의 집에 기부하고 수도원은 금박 책 커버, candle stick 등 장식품을 만든다. 수도승이 artisan 과 craftsmen 의 역활도 겸하여  책도 만들고 작품도 만들던 시대였다. 이런 이유로 중세의 좋은 작품은 거의 다 수도원이 소장하고 있다.


Early Medieval Books: Codex

책이 파피루스 papyrus의 두루마기 형태로 만들어지다가 양의 가죽을 딱딱하게 건조시켜 잘라 parchment 를 제작하여 사각형 모양의 책이 수도원에서 제작이 되는데 이를 codex 라고 한다. 책 사이즈에 따라 양피지를 몇등분하여 그 위에 글씨를 쓴다. 수도원에서는 의례에 쓰이는 4복음서의 내용을 모아서 Gospel Book 을 주로 만들었고 수도승들은 하루에 몇번씩 기도를 바치므로 시편 Psalter (book of psalms) 역시 제작되었다.

1. Christian Bible as codex

                              
                       
책은 소모품이 아니라 책 자체가 holy object 로 간주되었다. 카롤릭 의례의 도입부에 성경을 높이 들고 입장을 하면서 보여주므로  책 커버는 중요하게 장식이 되었고, 가죽이나 상아조각, 보석을 박아 책 자체가 작품이었다.

2. The Codex Amiatinus, Anglo-Saxon kingdom of Northumbria, 700

 The start of Old Testament               
                                             
               
The start of New Testament

                 
Codex 는 값이 비싸므로 중세의 수도원은 책을 쇠사슬에 묶어서 보관을 했다. 10개의 codices 가 책장 안에 있고 에즈라 Ezra가 책을 만들고 있는 초상화로서 구약의 커버이다. The Codex Amiatinus는 가장 오래된 codex 중의 하나로서 8세기 초에 교황에게 선물로 바쳐졌다.

3. The Codex Benedictus: lectionary from Monte Cassino, 11th C



글자나 삽화를 금, 은으로 입혀서 장식을 한 책을 illuminated manuscript  라고 한다.

4. The Codex Argenteus, 6th C


                            
은박 장식을 하여 "Silver Book" 이라고도 불린다. 4세기에 Bishop Ulfilas 가 성경을 고딕언어로 번역한 것을 6세기에 codex 로 제작했다.


복음서 저자의 상징 Evangelical Symbols
 
에저키엘의 환영 Vision of Prophet Ezekiel 



초기 기독교 철학자 (St. Jerom, St. Ambrose, St. Augurstine)들이 교리의 경전적 뒷받침을 만든다. 인간, 사자, 소, 독수리 사이에 앉아있는 신의 환영을 본 에저키엘 예언자의 말을 따라서 4복음서 저자의 고유한 symbol 로 4 생명체를 사용한다. 예수의 조상들의 이름을 나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마태복음 Matthew은  ‘사람’ 으로 상징한다. 마가복음 Mark 은 말씀이 황야의 사자의 포효처럼 힘있고 외롭다는 뜻에서 사자로 상징한다. 누가복음 Luke 은 자카리아 제사장의 희생의식에 쓰인 sacrificial animal 인 소로 상징한다. 하늘에 가까운 독수리같이 진실한 신의 환영이란 뜻으로 요한복음 John 은 독수리로 상징된다. 수도원에서는 Gospel Book 을 codex 로 제작하며 이 상징들을 표지에 그려 넣는다.
 
1. Symbol of Saint Matthew, Gospel book of Durrow, Ireland  7th C

                                                  

The Eagle of Mark                                                                                     The Lion of John   

                             

아일랜드의 토착 미술 Insular style 의 interwoven pattern 으로 장식한 Durrow Gospel Book 이다. 로마 지중해 문화권과의 접촉 이전으로 사람의 모습이 만화같은 기하학적 문양이다. 마태복음 Matthew 의 상징인 man을 그렸다. 마가복음의 Mark 를 eagle 로 표현했다(전통적으로 사자로 비유). Durrow Gospel 에서는 누가복음의 Luke 는 calf 로 상징했으며 요한복음의 John 은  lion 으로 상징했다(전통적으로는 독수리에 비유).

2. Coffin of St. Cuthbert, Lindisfarne Monastery, Kingdom of Northumbria 698




            
St Cuthbert (634 – 687)는 린디스파네 수도원의 Anglo-Saxon monk 이며 bishop 이다. St Cuthbert 는 린디스파네 가스펠의 작업을 하며 수도원의 수호성인이자 영국의 중세기에 가장 중요한 성인으로  위의 작품은 6명의 monk 가 그의 관을 나르는 장면이다. 도상이 확립되는 초기였으므로 관의 도상에 일관성이 없다.

The Lindisfarne Gospels, Lindisfarne Monastery in Northumbria, England, 7th century
                           
              Saint Matthew (man)                                                                    Saint Mark (lion)             
                            

                              
               Saint Luke (ox)                                                                          Saint John (eagle)

                             

린디스파네 가스펠의 4 복음서의 표지이다. 프랑스에서 건너온 소수의 elite monks 를 제외하고는 토착 엥글로색슨 monks 들은 로마에서 건너온 라틴어를 모르므로 Gospel Book에 English translation 작업을 한다. 기독교가 전파됐다고 해서 처음부터 다 이해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인 학습을 통해 400-500년의 시간이 걸린다. 초기 수도원은 일관성있는 이해를 위하여 text 를 번역해서 열심히 읽으려는 의지가 있었고  라틴어 text 의 번역을 축하하는 의미에서 The Lindisfarne Gospels 를 만들었다.

Cross page Lindisfarne Gospels


 
린디스파네 가스펠은 영국 북부의 수도원에서 만들었는데 Book of Durrow 보다 훨씬 잘 만들어졌다고 평가되며 그리스 로마권의 영향이 전혀 없이 앵를로색슨의 insular sytle 의 동물과 매듭문향을 사용한 고유한 토착문화로 본다. 자신들의 금속공예를 회화로 응용한 장식미술이다.

Colophon page The Lindisfarne Gospels


 
린디스파네 가스펠은 책의 끝 페이지에 책에 대한 기록과 정보가 있는데 이것을 콜로폰 이라고 한다. 교회주교의 이름과 책을 묶은 주교와 린디스파네 수도원의 수호성인 이름, 책의 장식은 금과 보석을 썼고 도금을 했다는 내용의 페이지로 귀중한 역사적 자료가 된다. 수도승의 덕목인 겸손한 자세로 책을 만들어 영광을 신께 돌린다는 내용이 있다. 

3. Chi Rho Iota page, Book of Matthew, Book of Kells, Iona, Scotland, 800 


 
스콧트랜드의 수도원에서 만든 책으로 사이즈가 크고 monumental 적인 큰 그림이 포함되어 있다. 카이로 아이오타 Chi Rho Iota는 Christ 의 첫 글자(X P I)를 의미한다. 복잡한 금속공예의 문양인 interwoven pattern 이며 많은 페이지를 공들여 장식한 illuminated manuscript 이다. Insular Art 의 전형적인 swirling motifs 의 동물과 신화적 동물이 구석 구석에 그려져 있다.

하지만 Kells Gospel Book 은 800년을 끝으로 미완성으로 남아있다. 800년 까지는 아일랜드의 수도원이 발전을 하지만 800-1100년에는 스칸디나비아 민족인 Viking 이 침략을 하여 300년 동안 영국의 수도원을 파괴한다. 살아남는 것 자체가 큰 문제였던 시기였다. Book of Kells 와 The Lindisfarne Gospels 는 섬나라 최고의 작품으로 꼽힌다.

4. Saint Luke Gospel Book of Otto lll, Reichenau Abbey, Staatsbibliothek, Munich, 1000 



오토 3세의 복음서이며 누가의 상징인 소가 보인다. Ottonian Art 에 속하는 illuminated manuscript 이다.  


중세 사회조직 Medieval World

중세 사회는 크게 교회사회 Ecclesiastical World 와 세속사회 Secular World 로  나누어져 있었고, 그 사이에 지성인, 예술인 그룹이 있었는데 이들은 양쪽의 사회에 다 속해 있었다. 수도원의 monks, 교회의 clergy, pope, saint 등으로 이루어진 교회사회가 세속사회보다 더 힘이 있어 우월한 위치에 있었다. 세속인들은 기사 knight 와 귀족 aristocrats 과 평민들인데, 봉건 영주 중심의 철저한 지방 분권이 이루어졌으며, 치안, 국방이 엉망이었으므로 평민들은 사회 구성의 기본을 이루는 성, 영주, 수도원에 의탁을 하였다. 미술 작품을 만드는 장인 artisan 은 두 세계를 넘나들며 살았다. 중세 초기에는 수도승이 artisan 을 겸하고 있었지만 나중에는 도시의craftmen 조직인 Guild 가 생긴다.

1. Calendar page from Très Riches Heures du Duc de Berry (The Very Rich Hours of the Duke of Berry) French, 1412-1416

              

15세기의 가장 중요한 illuminated manuscript 으로 중세 농부들의 생활을 그린 그림이 들어있다. 세속 신앙인들의 교회법에 따른 하루의 시간표를 131 페이지에 걸쳐 장식적인 그림과 글씨로 제작한 책이다. John, Duke of Berry 가 화가에게 주문하여 제작이 되었다.

2. Knights Tomb Effigy of Jean d’Alluye, French 1248

                            
             
Jean d'Alluye 는 career 를 쌓기 위해 Holy Land 로 가서 True Cross의 유물을 가져오고 knighthood를 부여받는다. 중세는 사회 신분체제가 고정적이지 않고 social mobility 가 많은 사회였다. 십자군으로 군대에 가거나 귀족의 눈에 띄면 기사가 쉽게 될 수 있었다.

3. Bayeux Embroidery, English Warriors, England 1088




             
The Bayeux Tapestry 는 70 meter 의 긴 길이를 가진 헝겊으로 노르만이 1066년에 영국을 점령하는 장면을 수를 놓아서 표현했다. 사회가 팽창하는 시기였으므로 knight 에게 많은 의미를 부여했다. 


수도원 Monastery

1. Cloister of St. Guilhem-le-desert, French

                      
             
프랑스에 있는 St. Guilhem 수도원의 일부를 떼어와서 맨하탄의 The Cloisters Museum 을 꾸며 놓았다.  

2. Saint Michael-de-cuxa of French 

                        
로마시대의 missionary 들이 다른 지역으로 가서 따뜻한 지중해 문화권의 수도원 문화를 그대로 퍼뜨린다. 도시의 혼잡함을 피해 사막에 수도원을 짓고 수행을 하기도 했고 혹은 추운 기후에서는 지중해의 건축양식이 맞지 않기도 한다.   

3. Skelling Michael, Island Monastery off Ireland, 6-12 세기

                                 
    
영국 수도원의 척박한 환경이다. 일련의 monk 들이 6세기에 아일랜드의 Skelling Michael 에 돌집을 짓고 12세기 까지 살았다. 그들은 바이킹의 침략과 황량한 환경을 신앙적으로 참아내면서 견디었다.

4. Ireland Escomb Saxon church 7세기

                        
  
수도원은 가난한 기독교 정신을 나누는 곳으로 소박한 헛간의 모습이다. 하지만 신께 바치기 위해 작품으로서 만들어내는 것은 정성과 돈이 들어간 화려한 holy object 였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